
‘마이웨이’(2011)는 일제강점기부터 제2차 세계대전까지 격동의 시대를 배경으로, 한국인과 일본인의 얽히고설킨 운명과 우정, 그리고 전장의 생존기를 그린 대서사 전쟁 드라마다. 강제 징용, 전쟁터에서의 갈등과 생존, 국적을 뛰어넘는 인간애를 소재로 삼으며, 국내 영화로서는 드물게 노르망디 상륙작전까지 다룬 국제적 스케일의 작품이다. 장동건과 오다기리 조의 강렬한 투톱 연기와 함께, 감독 강제규의 전쟁 연출력이 어우러져 탄생한 역작이다.
1. 적인가 친구인가, 국적을 뛰어넘은 인간관계
‘마이웨이’의 중심에는 두 남자의 평행선 같은 인생과 얽힌 운명이 있다. 조선인 마라토너 김준식(장동건)은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뛰어난 실력을 갖추었지만, 일본 제국주의의 차별과 억압 속에서 늘 한계에 부딪힌다. 그와 경쟁하던 일본 유력 가문의 아들 타츠오(오다기리 조)는 준식을 라이벌로 여기면서도, 은근히 질투하고 억누르려 한다. 두 사람은 마라톤을 통해 처음 만났지만, 이후 전쟁이라는 더 거대한 소용돌이에 휘말리며 여러 차례 마주하고 헤어진다.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 생존을 위한 배신도 서슴지 않지만, 그 과정 속에서 서서히 상대를 이해하게 되는 감정의 변화가 영화의 핵심이다. 총성과 피의 전장에서, 국적도, 계급도 무너지고 오직 ‘사람 대 사람’의 관계만이 남게 되는 순간들은 깊은 울림을 준다. 이들은 처음엔 적이었지만, 끝내 친구가 된다. 영화는 이 과정을 과장 없이, 절제된 감정선으로 풀어가며, 우정과 용서, 연대라는 보편적 가치를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 안에서 풀어낸다. 장동건과 오다기리 조는 말보다 눈빛과 행동으로 상대를 이해해 가는 연기를 보여주며, 감정의 진폭을 섬세하게 표현한다.
2. 시대와 전장을 넘나드는 스케일, 압도적인 전쟁 묘사
‘마이웨이’는 국내에서 보기 드문 글로벌 스케일의 전쟁 영화다. 조선, 만주, 몽골, 소련, 독일, 프랑스를 배경으로 하며, 한 인물이 동쪽 끝에서 서쪽 끝까지 끌려가는 여정을 따라간다. 이러한 서사는 단지 상징적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전쟁의 잔혹함과 생존의 처절함을 실감 나게 보여주는 장치로 작용한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역시 전쟁 장면의 리얼리티다. 몽골 초원의 전차 전, 독소전쟁의 참호, 노르망디 해변의 상륙작전 등은 한국 영화에서 전례를 찾기 힘든 규모와 리얼리티를 자랑한다. 수많은 병사들의 혼란, 피 튀는 참혹한 장면, 폭발음과 총성이 뒤엉킨 전장 한복판의 공포는 마치 실제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한 긴장감을 자아낸다. 이는 단순한 볼거리 그 이상의 효과를 갖는다. 영화는 전쟁을 미화하지 않고, 인간의 존엄성조차 쉽게 무너지는 현실을 정면으로 보여준다. 그러면서도, 전투 장면 속에서도 두 인물의 감정선은 흐트러지지 않으며, 액션과 드라마의 조화를 탁월하게 이뤄낸다. 강제규 감독의 연출력은 그 방대한 서사를 정돈하며, 관객을 전장 속으로 몰입시키는 데 성공했다.
3. 생존과 정체성, 국적을 잃은 자들의 이야기
‘마이웨이’는 단지 전쟁 블록버스터가 아니다. 이 영화의 핵심 주제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정체성의 질문이다. 조선인으로 태어나, 일본 군복을 입고, 소련 병사로 투입되다 결국 독일군이 되는 김준식의 기구한 여정은, 일제 강점기 조선인의 비극 그 자체다. 그는 어떤 나라의 군인도 아니었고, 단지 살아남기 위해 전장을 떠도는 존재였으며, 역사에 기록되지 못한 수많은 조선인 중 하나였다. 영화는 그를 통해 ‘국적 없는 전쟁의 희생자들’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동시에 타츠오 역시 일본의 명문가 자손이지만, 전장에서 인간성을 잃고 고통받는 인물이다. 이 둘은 서로 다른 이유로 전장에서 인간성을 회복해 가는 여정을 걷는다. ‘마이웨이’는 그래서 전쟁이 아닌 사람에 대한 영화다. 승패나 이념이 아닌, 살아남는 것, 인간으로 남는 것의 의미를 묻는 작품이다. 이러한 주제의식은 영화의 마지막까지 일관되게 흐르며, 관객에게 묵직한 메시지와 여운을 남긴다. 한국 영화에서 보기 드물게, 글로벌 감각과 역사적 메시지를 함께 갖춘 수작이다.
‘마이웨이’는 단순한 전쟁영화를 넘어 우정, 생존, 인간성 회복의 서사를 담은 드라마틱한 대작이다. 시대를 초월한 감정, 스펙터클한 전쟁 장면, 그리고 정체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이 어우러진 이 작품은, 지금도 다시 볼 가치가 충분한 영화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만큼, 기억되지 못한 역사 속 이들의 삶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